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당뇨정상수치와 당뇨초기증상 / 당뇨식단

일반 상식

by 성실한뚜벅이 2023. 8. 11. 01:04

본문

반응형

당뇨병란 무엇인가? 당뇨초기증상과 식단에 대해 알아보자.

당뇨병은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고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대사질환입니다.

혈중 포도당의 농도가 높아 고혈당이라는 것이 특징이며 여러 증상을 일으킵니다.

 

현재 국내에는 30세 이상 당뇨병 환자가 600만명에 육박한다고 합니다.

600만명이면 우리나라 인구의 10%를 넘게 차지합니다.

 

제1형과 제2형 당뇨병으로 구분됩니다.

  • 제1형 당뇨병 = 소아 당노병 (선천성 유형)

제1형 당뇨병은 주로 소아 당뇨병이라이라고 불리웁니다.

물론 드물지만 성인에게도 발병한다고 합니다.

제1형 당뇨병은 성장하는 소아청소년기에 발병하며 자가면역문제로 인해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의 베타세포가 공격받아 인슐린의 거의 분비하지 못하는 질병입니다.

제1형 당뇨병의 경우, 아이들이 자기 통제를 못해 식단조절이 힘들고 관리가 쉽지 않다는 점입니다.

아이가 치료에 대해 긍정적인 사고를 갖도록 하는 등 부모의 역할이 상당히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제2형 당뇨병 = 성인 당뇨병 (후천성 유형)

제2형 당뇨병은 성인당뇨병이라 불리웁니다.

주로 서구화된 식단과 야식, 음주, 운동부족으로 인해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 기능이 저하되어 포도당을 연속적으로 연소하지 못하는 인슐린 저항성을 특징으로 합니다.

서구화의 고열랑, 고지방, 고단백의 식단, 운동부족, 스트레스 등 환경적 요인도 크지만 이 외 유전적 요인도 있습니다.

 

당뇨정상수치

당뇨는 혈당을 기준으로 측정합니다.

혈당은 혈액 내 포도당의 농도를 나타냅니다.

혈당수치표

728x90

 

공복혈당은 100 미만이어야 하며 125 이상이면 당뇨병이라고 합니다.

 

당뇨초기증상

당뇨초기증상

  • 배가 자주 고파 많이 먹는다
  • 갈증을 자주 느껴 물을 많이 마신다
  • 소변량 증가
  • 피로감
  • 원인 없는 체중감소
  • 눈 침침함
  • 손발 저림
  • 자주 배고픔
  • 손발 따끔
  • 약간의 마비 증상
  • 피부 어두워짐

위 3가지가 초기에 알아차릴 수 있는 3대 증상입니다.

하지만 초기에는 이러한 증상이 미비하여 단순히 과로에 의한 것으로 생각하기 쉽습니다.

1년에 한번은 기본 검진을 받더라도 혈당을 체크받을 수 있으니 최선의 예방은 잦은 건강검진입니다.

 

당뇨식단 / 당뇨에 좋은 음식

당뇨식단

  • 땅꽁속껍질 - 땅콩 속껍질에는 폴리페놀 성분이 혈액속 유해산소를 제거해 포도당 분해를 돕고 활성산소에서 췌장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 식품공학영양학 린지교수팀 발표)
  • 해조류 - 김, 미역, 다시마, 파래, 톳 등
  • 녹조류 - 감태, 해초 등
  • 두유
  • 아몬드
  • 저지방우유
  • 달걀
  • 치즈
  • 딸기
  • 아보카드
  • 오이
  • 시금치

당뇨에 좋은 영양제

  • 바나나잎 영양제

바나나잎에는 코로솔산이라는 성분이 있습니다.

코로솔산은 포도당수송체를 활성화 시켜 혈액속의 과다한 당을 세포안으로 옮겨주는 역할을 합니다.

인슐린저항성을 개선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바나나잎 영양제는 온라인을 통해 평점을 보시고 구매하시면 됩니다.

아래 링크는 다음 포털에서 바나나잎 사러 바로가기 링크입니다.

https://search.daum.net/search?w=tot&DA=YZR&t__nil_searchbox=btn&sug=&sugo=&sq=&o=&q=%EB%B0%94%EB%82%98%EB%82%98%EC%9E%8E+%EC%98%81%EC%96%91%EC%A0%9C

 

 

 

 

Q&A

Q1 : 돼지감자가 왜 당뇨에 좋은가요?

A1 : 돼지감자는 당뇨에 특화된 좋은 식품은 아닙니다.

식이섬유의 일종인 [이눌린] 이 풍부한데 [인슐린]과 혼돈되어 유명해지기 시작했습니다.

물론 당의 흡수와 섭취량을 늘려주는 역할을 식이섬유가 하지만 당뇨에 직접적인 효능은 없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