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부자의 기준(경제적 자유에 관한 고찰)

부동산&경제 상식

by 성실한뚜벅이 2023. 11. 3. 15:35

본문

반응형

[ 목차 ]

     

    얼마가 있어야 부자일까요? 경제적 자유의 기준점은 어디일까?

     

     

     

    728x90

    서론

    현재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세계 정세가 심상치 않습니다.
    코로나와 전쟁 등 여러가지 악재가 겹치면서 금리는 천정부지로 올랐고 아파트 투자 열풍이 불면서 가계부채도 눈덩이 처럼 불어났습니다.
    코로나가 시작되면서 시장에 돈이 엄청나게 풀리고 부동산 정책에 힘입어 투자 수요가 정말 급등했고 이에 따른 부동산 가격도 하늘을 찔렀습니다.
    부동산 투자가 어렵거나 주식에 더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또 주식에 모든 돈을 밀어 넣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은 1%에 머물고있습니다.
    게다가 금리가 낮아 질 낌새가 없으며 고금리가 지속되고 생활고와 자산가격위축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모두들 경제적 자유를 꿈꾸기에 투자를 멈추지 않았던 결과입니다.
    도대체 얼마가 있어야 평생 돈 걱정 없이 살 수 있을까요?
    우리나라 부자는 평균 얼마가 있을까요?
     

    부자의 정의

    부자는 말 그대로 자산이 많은 사람을 칭합니다.
    경제적으로 부자의 지점은 어디일까요?
    하나금융경영연구소 대한민국 웰스 리포트에 따르면 총 자산 10억 이상은 부자라고 합니다.
    약 10억 언저리의 자산을 가지고 있다면 이들은 대중 부유층이라고 칭했습니다.
     
    [2020년 말 기준]

    출저 :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
    • 약 1억 ~ 10억 : 50% (대중 부유층) *사실 이 구간은 중산층이라 표현해도 맞을 것 같습니다.
    • 10억 이상 30억 미만 (일반 부유층) : 38%
    • 30억 이상 - 50억 미만 : 8%  (부유층)
    • 50억 이상 - 100억 미만 : 3% (부유층)
    • 100억 이상 - 1% (슈퍼리치) *요즘은 200억은 있어야 슈퍼리치 반열에 오른다는 말도 있습니다.

    소득을 보자면,
    이들중 30억 이상 부자들의 소득은 2억원 이상이 46%이며,
    대중부유층의 경우 5천만원~1억원 미만이 39% 였습니다.
     
    30억 이상 부자들의 자산 중 부동산 비중이 53%,
    약 10억 대중부유층의 부동산 비중은 무려 76%였습니다.
    더 큰 부자일수록 부동산 비중이 작아집니다.
     
    그렇습니다. 대중부유층 10억 자산 중 76%가 부동산이라면, 현재 자산가치는 얼마나 될까요?
    특히 아파트 가격이 천정부지로 올랐을 시점 2020년입니다.
    저의 의견은 대중부유층을 중산층이라 칭해도 될 것 같습니다.
    현재 2023년은 어떨까요? 한번 살펴보시겠습니다.

     

    2023년 부자 리포트

    [2022년 말 기준]
    아래 수치는 30억 이상 부자들의 평균을 조사한 내역이라고 판단됩니다.
    2022년말 부자의 평균자산은 72억원, 이 중 부동산 비중이 55%로 39억에 달했습니다.
    부자들이 부동산을 선호하는 이유는 안정성, 투자수익성을 이유로 꼽았습니다.
    하지만 부동산 시장이 악화되면서 평균 5억원 정도 자산이 감소했다고 합니다.
     
    또한 금융자산도 안정성을 추구했습니다.
    주식 보유분을 비교적 안전한 채권이나 예금으로 비중을 돌렸습니다.

    • 주식비중 27%에서 16%로 감소
    • 채권이 3%에서 6%로 상승
    • 예금이 28% 에서 25%로 상승

     

    슈퍼리치들은 어떻게 돈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을까?

    슈퍼리치들의 평균자산은 평균 323억이라고 합니다.
    설문조사를 통한 결과를 보겠습니다.
    1위가 부모의 교육, 가정 분위기가 자연스럽게 관심을 갖게 해주었다 (44%) 라는 의견을 보였습니다.
     
    반면, 대중부유층(1억~10억 자산)과 일반부유층은 자녀 출산 및 부모 봉양 등 가족 관련 책임감으로 인해 돈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고 합니다.
     

    경제적 자유란?

    경제적 자유는 말 그대로 경제적으로 완전한 자유가 되는것입니다.
    일을 하지 않아도 먹고 살고 즐길 수 있다는 말입니다.
    우리나라 진짜 부자는 30억 이상부터라는 내용을 알 수 있었습니다.
    단, 수익이 유지되거나 증가하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어야겠죠.
    부자들 약 30%는 오히려 코로나 펜데믹 기간에 자기 자산의 10%를 증식했다고 합니다.
    그렇습니다. 부자들은 항상 공부하고 전략을 세워 자산을 증식시킵니다.

    결론

     

    하나금융경영연구소의 값진 리포트로 이렇게 부자들 세계를 조사해볼 수 있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아쉽게도 슈퍼리치는 유전이라고도 할 만큼 가정환경이나 교육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슈퍼리치는 선택받은 자들의 리그라면 대중부유층을 넘어 일반부유층(30억 이상)까지는 도전해볼만 하다는것 아니겠습니까?
    자산에 대한 포트폴리오 공부를 계속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고소득이 동반되어야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조건이 되겠죠?
    고소득을 위해서는 현재 상황에서 벗어나려면 시도를 해야합니다.
    저는 회사를 퇴사하고 직전 사업에서 꽤 괜찮은 수입을 올렸는데 현재는 그 본업마저 놓고 다른 방면으로 집중해보고 있습니다. 한계를 느꼈기때문입니다. 회사를 그만두게 된 이유도 다니던 회사의 임원 연봉을 듣고 나서입니다.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는다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여러분 모두 경제공부 열심히 해서 자산증식을 이루어 경제적 자유를 이루어 봅시다!


    [경제공부 소개글]
    미국채 수익률 상승으로 인한 금리동결.
    채권과 금리는 어떤 상관관계이길래?

    채권과금리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