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의 종류와 위험성
20세기 최고의 발명품은 플라스틱이라는 말이 있다.
세계에서 플라스틱이 사라지면 큰 불편을 겪는다고 합니다.
아주 편리하지만 환경오염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고
환경호르몬 관련하여 질병을 유발한다는
플라스틱의 종류 7가지를 알아보겠습니다.
코드 | 명칭 | 용도 | 위험성 | 재활용 | 특징 |
PET(PE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
일반 페트병 생수병, 음료수병 등 |
안전함 | 가능 | 가장 많이 재활용 되며, 독성에 안전하지만 재사용시 박테리아 번식가능성 큼. 전자레인지X |
|
HDPE 고밀도 폴리에틸렌 |
우유병, 플라스틱뚜껑, 장난감 등 |
안전함 | 가능 | 독성에 매우 안전하며, 재사용 가능함. 전자레인지 사용 가능. 열에 강하고 인체무해. |
|
PVC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
비닐, 랩, 필름, 고무대야, 호스 등 |
위험함 | 불가능 | 열에 약하며 소각시 독성가스와 환경호르몬 다이옥신 배출 전자레인지X |
|
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 |
비닐봉투, 캐첩 등 소스용기와 유연한 뚜껑, 포장지 등 | 괜찮음 | 불가능 | 다소 유연한 플라스틱 일생 생활 사용은 안전하나 재활용 불가하며 열에 약하여 뜨거운 음식이 닿으면 환경호르몬 배출 전자레인지X |
|
PP 폴리프로필렌 |
밀폐용기, 음식용기 도시락용기 등 |
안전함 | 가능 | 내구성이 강하며 고온에도에 변형되지 않음. 전자레인지 사용 가능. 호르몬 배출X |
|
PS 폴리스티렌 |
일회용컵, 뚜껑, 컵라면 용기 등 | 위험함 | 불가능 | 열에 약함. 환경호르몬, 발암물질 배출함. 미세플라스틱의 주범. 일상 생활속에 엄청 많아서 주의 해야함. |
|
PC 폴리카네보네이트 |
물통, 다양한 용기, 외장재 등 |
위험함 | 불가능 | 건축 외장재로 많이 쓰임. 환경호르몬 배출되어 식품용기로는 사용 불가 |
여기서 환경호르몬에서 완전히 자유로운것은
2번과 5번 HDPE, PP밖에 없네요.
코로나로 인해 배달음식을 많이 먹게 되는데 요즘은 거의 다 PP용기를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아래 사진의 경우 식품용이라 표기가 되어 있고 전자렌지 사용 가능이라고
아에 표기가 되어 있네요.
[가장 많이 사용되는 6번 PS의 경우 안전한가의 논란]
6번 PS의 경우 커피 뚜껑, 하얀색 스티로폼 같이 생긴 용기, 컵라면, 랩(단 PE제품의 랩은 안전) 등 많은 일상생활 속에서 보입니다. 단가가 저렴하여 많은 생활속에서 사용하고 있는데 식약처에서는 이 PS(폴리스티렌)이 안전하다고 합니다. 휘발성물질이 소량 검출되긴 하지만 인체에 무해한 정도라고 하네요.
그런데 돈까스, 만두 등 기름기 많은 음식은 바로 담지 말고 컵라면 용기는 전자레인지 안에 넣지 마라고 합니다. 지킬것은 지키면서 안심하고 사용하라고 권고하고 있습니다. 관련글은 아래 첨부하겠습니다.
저는 PS의 경우 그 용기에는 아예 먹지 않는 것을 택하겠습니다. 학창시절에 컵라면 빨리 먹으려고 뜨거운 물 붓고 전자렌지에 돌려먹었는데 엄청 후회됩니다. 특히 아이가 있는 집은 식약처의 권고사항도 좋지만 주의해야 할 것 같습니다.
https://blog.naver.com/kfdazzang/222556169382
지속적으로 일상속에서 환경호르몬에 노출이 되면 어떻게 될까요?
- 환경호르몬이란 ?
환경 호르몬은 내분비교란물질이라고 하며 사람의 건강과 생식작용에 영향을 주는 화학물질이다. 보통 농약, 살충제, 플라스틱, 통조림캠에 많이 들어있다고 한다. 한번 생성되면 잘 분해되지 않고 환경에 그대로 남아 있거나 인체에 소량씩 축적되어 지방세포에 저장되어 다양한 질병을 일으킨다.
- 환경호르몬이 일으키는 질병은?
환경호르몬은 에스트로겐과 같은 작용을 한다고 한다. 그래서 특히 여자 아이에게 빨리 시작되게 되는 성조숙증이 대표적질병이라 볼 수 있다.
최근 불임센터에 가본 적이 있는데 부부환자가 넘치고 넘쳐서 진료 대기 시간이 엄청 길었다. 나라에서는 애기를 안낳는다고 하지만 또 한가지 문제는 불임부부의 증가로도 볼 수 있을 것 같다. 현재 20대 ~30대가 플라스틱과 환경호르몬에 제일 많이 노출 된 세대가 아닐까 싶다. 다음 세대의 아이들은 플라스틱이나 환경호르몬의 위험에서 벗어나게끔 노력해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성조숙증, 불임 외에도 환경호르몬의 대표적 물질인 비스페놀A 는 플라스틱, 통조림 캔 등 일상생활에 많다고 하는데 비만, 심장질환, 고혈압, 당뇨를 일으킨다고 한다.
프탈레이트는 플라스틱의 유연도를 위해 첨가하는 물질인데 남성호르몬의 반대작용을 하여 남자아이의 생식작용에 큰 문제를 일으키고 최근 인슐린, 혈당, 갑상성호르몬에도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고 한다.
이처럼 플라스틱의 개발은 우리 인류에게 가장 큰 편리함을 주었지만 반면 부작용인 환경오염과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었습니다. 우리 다음 세대에게 좋은 환경의 지구를 물려주기 위해서는 플라스틱의 사용을 줄이거나 플라스틱을 대체할 만한 용기, 빨대를 개발하는 것이겠죠.
여기까지 일반상식을 전하는 성실한 뚜벅이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실내에서도 키우기 쉬운 식물 TOP 3 (햇빛 거의 없이 키우는 식물) (0) | 2022.11.07 |
---|---|
박카스의 종류와 차이점. 자양강장제의 효능과 부작용. (2) | 2022.11.07 |
신선한 계란(달걀)고르기와 구별법, 보관방법 (0) | 2022.11.06 |
엑셀 행과 열 모두 숫자로 표시될 때 [해결방법] (0) | 2022.11.05 |
로또 조작설정리. 로또 생방송 안하는 이유 (0) | 2022.11.03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