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를 소유하고 굴리기만 해도 돈이 많이 들어간다는 것은 알고 계시죠?
자동차 운영에서 가장 빈도수가 높은 정비 품목이 바로 엔진오일입니다.
엔진오일의 역할부터 알아보고 교환주기 팩트정리 시작하겠습니다.
[ 목차 ]
엔진은 강력한 피스톤 운동을 합니다. 마찰이 일어나서 엔진의 손상이 야기 되는데 이를 예방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엔진이 작동하면 이물질이 발생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이는 엔진의 피스톤 운동을 방해하여 성능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피스톤 운동을 하면 많은 열이 발생되는데 이때 열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엔진오일은 엔진을 코팅하여 마모를 감소시킵니다.
녹을 방지하고 산화를 방지합니다.
엔진오일을 주기적으로 교환하지 않고 오랜시간 방치하면 엔진오일이 닳아 부족하게 됩니다.
자동차 회사에서는 엔진오일을 자주 갈아주는것이 좋다고 합니다.
자주 갈아주면 당연히 좋겠죠. 하지만 비용이나 시간의 문제도 있습니다.
운전 상황에 따라 팩트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제조사에서 말하는 가혹조건이란?
가혹조건 주행 | 보통 주행 | 간헐적 주행 | |
교환주기 (km) | 7,500~10,000km 이내 | 15,000 ~ 20,000km 이내 | |
교환주기 (기간) | 6개월 | 1년 | 1년 |
※ km 도달이나 기간의 도달 중 빨리 도달하는 시점에 교환하도록 합니다. |
가혹 주행일 경우, 보통 주행보다 엔진의 활용과 오염도이 높다고 합니다.
먼지가 많은 지역에 자주 다니시면 7,500~10,000km에 한번씩 엔진오일을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합니다.
정비사에서 말하는 엔진 오일의 교환 주기는 다소 잦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차를 아끼시고 오래 타실 생각이시라면 5,000~7,500km사이에 교체하시는 것도 괜찮습니다.
하지만 제조사에서 추천하는 방식의 엔진관리로도 충분히 차량 관리가 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관련기사 첨부하고 이만 물러나겠습니다.
https://www.autotribu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5980
정당방위 범위와 기준 (1) | 2024.08.06 |
---|---|
필리버스터 뜻? 필리버스터 부작용과 제한, 과정 총정리 (1) | 2024.08.05 |
안락사 존엄사 절차와 조건, 비용 등 정리 (0) | 2024.07.30 |
올림픽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상금과 연금 (0) | 2024.07.30 |
탈모약 실제 복용 경험 후기. 부작용, 탈모샴푸로만 탈모치료? (0) | 2024.07.27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