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엘레베이터에서 왜 통화불량이 일어날까요?

일반 상식

by 성실한뚜벅이 2022. 11. 2. 22:38

본문

반응형
엘레베이터에서는 왜 통화끊김 현상이 발생할까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문득 일을하다가 외근이 많은 날이었는데 중요한 통화를 하다가 엘레베이터만 타면 통화불량이 일어나는데 참 짜증이 나더군요. 그래서 도대체 왜 엘베에서만 통화 끊김 현상이 발생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엘레베이터는 모두 도체로 구성되어 있다.
→ 핸드폰 통화는 전파를 통해 서로 통화가 가능하게 됩니다.
엘레베이터는 철, 알루미늄, 기타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엘레베이터 문이 닫히는 순간, 도체가 핸드폰 통화에 필요한 전파를 막아버리게 됩니다. 그래서 바로 통화 끊김 현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즉, 통신에 필요한 전파를 금속이 막고 있다는 뜻입니다.


그렇다면 이런 경험은 없으신지요?
내가 자주 타는 엘레베이터에서 끊김 및 통화불량 없이 말끔하게 통화가 가능한 건물이 있다!
그렇다면 바로 엘레베이터에는 중계기가, 건물 지하에는 송신기가 달려있는 것입니다.
이 중계기와 송신기를 유선 광케이블로 연결하여 신호를 안정적으로 송수신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중계기란 엘레베이터 안에서 원활한 통화를 위한 안테나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우리나라 kt에서는 2011년 부터 상용화를 하여 현재는 많은 건물에 이 기술이 도입됐을겁니다.
기술 이름은 엘로하 라는 기술입니다.

최초 이 기술이 도입 된 아파트는 서울 서초구 반포동 자이아파트라고 하네요.
역시 서울에 제일 비싼축에 속하는 아파트답습니다.

관련기사 참고바랍니다.
https://corp.kt.com/html/promote/news/report_detail.html?datNo=9794


2018년에는 UNIST번영재교수팀이 중계기 없이 엘레베이터 통화불량 현상을 해결하는 장치를 개발했다고 합니다. 엘레베이터 평면에 무늬를 새겨 전파가 통과되도록 개발했다고 합니다. 중계기를 다는 것이 많이 불편하고 단순 무늬를 새기는 것이 중계기를 다는 비용보다 저렴하다면 이 기술이 상용화가 되었을것 같은데, 이 기사 말고는 실적 관련 기사가 없어 더이상의 자료는 구할 수 없었습니다.
2018년 기사이니 지금쯤 이 기술이 적용된 건물이 있을수도 있겠네요.

관련기사 참고바랍니다.
http://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642406


결론 !
1. 엘레베이터는 도체로 구성되어 있어 전파의 통과가 어렵기 때문에 통화불량이 일어난다.
2. 이 통화불량은 통신회사의 중계기 설치로 완화할 수 있다.
3. 하지만 지금도 엘레베이터만 타면 통화불량인 건물이 수두룩하다.
4. 더 좋고 저렴한 기술이 개발되어 제발 중요한 순간에 전화가 끊기지 않았으면 좋겠다.


여러분야의 일반상식을 전달하는 성실한 뚜벅이였습니다.
이 정보가 여러분들의 궁금증을 해결해주었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