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공인중개사 전망과 시험 응시율 급감. 부동산 줄폐업 원인은?

부동산&경제 상식

by 성실한뚜벅이 2023. 10. 31. 10:44

본문

반응형

부동산 시장의 현황과 공인중개사

부동산전망

[ 목차 ]

    1. 2023년 공인중개사 시험 응시율, 합격률 분석

    이번 10월 공인중개사 시험이 치루어 졌습니다. 34회 시험에서 시험 응시율이 많이 급감했다고 합니다.

    그 원인은 도대체 무엇일까요?

    우선 현재까지 공인중개사 시험의 응시율, 합격률 등을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역대 합격률을 보시겠습니다.

    10년 정도의 자료를 보면 약 20% ~ 30%대로 합격합니다.

    그리고 합격률은 거의 20~30%대 사이입니다.

    최근 21년, 22년은 거의 30%에 육박하네요.

    이렇게 매년 많게는 2만7천명의 새로운 중개사가 탄생하고 있었습니다.

    728x90

     

    23년 공인중개사 응시율 급감!

     

    23년 응시 인원은 약 29만명으로 작년에 비해 거의 10만명 가까이 급감했습니다.

    게다가 결시율(시험 등록 후 미참석)도 증가했다고 합니다.

    21년 25%, 22년 27% 인데 반해 이번 23년은 30%를 넘어설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도대체 원인은 무엇일까요? 

    공인중개사의 전망이 나빠져서 일까요?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2.부동산 폐업 현황 (개업보다 폐업이 2000곳 더 많다)

    2021년 부동산 호황기때 인기가 급상승해서 응시인원이 39만명 이상 몰렸었습니다.

    이때 개업한 공인중개사가 많고 현재 23년 부동산 시장 쇠퇴기에 폐업하는 부동산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한국공인중개사 협회에 따르면 개업하는 사무실보다 폐업하는 사무실이 증가하는 것은 이례적이라고 합니다.

    그만큼 심각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현업에 종사하시는 공인중개사가 부동산시장이 회복하기 힘들거라는 판단을 해서 폐업률이 올라가는 것이겠죠.

    부동산 폐업률 상승, 지속될 것인가? 부동산 시장을 분석해보시죠.


    3.부동산 시장 예측(물가,금리,정책 등)

    2019년 코로나를 시작으로 러-우 전쟁, 현재는 또 이스라엘 전쟁이 터졌습니다.

    이러한 전쟁과 전염병은 무역수지를 악화시키고 물가상승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물가상승이 과연 부동산 가격에 호재일까요?

    게다가 미국은 금리를 계속 올리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금리를 올리면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우리나라는 왜 미국금리를 `따라가야 할까요?

    금리에 관해서는 아래 링크에서 자세히 다루었습니다.

    https://sungddu.tistory.com/57

     

    금리가 오르면 미치는 영향(미국 금리인상, 따라가야만 하나?)

    금리인상, 위험요소는 무엇일까요? 오늘은 금리가 오르면 무엇이 문제가 되는지 알아보는 기본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경제와 금리에 대해서 공부를 하신분은 굳이 글을 읽지 않으셔도

    sungddu.tistory.com

     

    물가상승이 일어나면 금리가 올라갑니다. 돈줄을 묶어 물가를 잡겠다는 취지인데 이해가 안가시는 분들을 위해 간략히 설명하겠습니다.

    내외부 요인으로 물가가 상승하면 금리를 올립니다. 

    금리를 올리면 돈의 공급이 감소한다는 말이고 물건 구매 수요도 감소합니다.

    기업에서는 물건 구매 수요가 줄었기 때문에 매출 확보차원에서 물건 값을 내리거나 많이 생산합니다.

    결국 물가가 안정되게 됩니다.

    이러한 원리로 금리가 인상되는 것입니다.

     

    정리하자면 물가가 상승하면 실질자산(부동산 등)의 가치는 올라가는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부동산의 가치가 상승한 것 보다는 화폐의 가치가 내려간 것이 맞다고 보는 견해가 맞다고 생각합니다.

    화폐를 가지고 있는 사람보다 실물자산에 투자한 사람이 자산가치하락을 방어하는 차원이라고 생각합니다.

    즉, 물가의 상승은 금리가 인상을 야기하고 금리의 인상은 부동산 시장의 투자수요를 감소시킵니다.

    매수자 우위 시장이 되는 것입니다.

     

    조정지역대상 해제, 특례보금자리론 등 정책적으로 완화정책을 펼치고 있고 현재는 그 수요마저 없는 상황입니다.

    부동산은 10년 주기로 상승 하락을 반복하면서 우상향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현재는 부동산 쇠퇴기의 시작인 것 같습니다.

    쇠퇴기, 침체기, 회복기, 상승기 크게 4단계 사이클인데 과연 침체기 후 회복기는 올까요?

    2030년 부터 본격적인 고령화, 저성장이 고착화 된다고 하고 부동산 시장도 역동성을 잃어버린다고 하는데 과연 그렇게 될까요? 그리고 공인중개사의 전망은 어떨까요?

     


    4.향 후 부동산시장과 공인중개사의 관계

    공인중개사

    결론적으로 말씀 드리자면 부동산시장의 호황기는 분명 다시 올거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고령화와 저성장이 고착한다고 해서 이 좁은 땅에서 부동산이 자산가치로써 매력이 없는 것이 아니니까요.

    일단 공인중개사는 거래빈도수에 대비하여 수익이 생기는 직업입니다.

    현재 거래량 급감으로 인해 폐업하는 공인중개사가 많아지는데 이는 또 기회가 될 수 있겠죠.

     

    저의 개인적인 견해로는 부동산시장은 사이클이 있으며 지금까지 이어졌던 약 10년주기의 사이클의 행태가 갑자기 급변할 일은 없을 것 같습니다. 

    오히려 내외부 요인이 급변하는 시대기 때문에 10년 주기 보다 더 짧아질 것 같습니다.

    즉, 현재는 쇠퇴기라도 5년 정도 후에 회복기가 온다던지 말이죠.

    향 후 미국의 물가가 안정되어 금리를 천천히 인하하면 우리나라도 금리를 인하할 것이고,

    전쟁, 전염병도 없는 시기가 와서 무역도 활발히 이루어 져 사회가 안정된다면 부동산 시장도 안정되겠죠.

     

    앞서 언급한듯이 공인중개사는 부동산 가치가 올라야만 돈을 버는 것이 아닙니다.

    거래가 빈번히 일어나면 되는 것이죠. 물론 본인의 영업 노하우가 있어야하겠지요.

     

    결론을 내자면 어느 분야이든 그 분야에서 특출한 사람들은 본인이 하는일에 대해서 의심하지 않습니다.

    그 분야에서 열심히 하다보면 언젠가는 고수익을 올릴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현재 공인중개사 시험 준비하시고 계신 수험생분들도 여러가지 부동산의 부정적 기사나 메스컴에 흔들리지 마시고 잘 이어나가시길 바랍니다.

     

    다음시간에는 공인중개사 직업의 장단점에 대해 다루어 보겠습니다.

    중개수수료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